- Dec 25, 2022
사랑은 믿음이다
“우리는 형제를 사랑함으로 사망에서 옮겨 생명으로 들어간 줄을 알거니와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사망에 머물러 있느니라” (요일 3:14) 그래서 14절은 “형제를 사랑함으로 “사망에서 생명안으로 들어간것”(영생을 얻은 것) 을 안다고 말씀합니다. 14절과 똑같은 말씀이 요 5:24에 나옵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 말을 듣고 또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 심판에 이르지 아니하나니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겼느니라”. 여기서 14절의 “옮겼다”와 요 5:24의 “들어갔다”는 같은 헬라어 단어입니다. 예수를 믿음으로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졌다/들어갔다”(영생을 얻었다)고 말씀합니다. 요한복음은 “믿음으로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졌다”고 말씀하고 요한일서는 “사랑함으로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졌다”고 말씀합니다. 바로 믿는 사람이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말입니다. 그래서 15절에 “그 형제를 미워하는자마다 살인하는 자니 살인하
5 views
- Dec 18, 2022
지혜의 취약함과 극복
“죽은 파리들이 향기름을 악취가 나게 만드는 것 같이 적은 우매가 지혜와 존귀를 난처하게 만드느니라” (잠언 10:1) 조그만 죽은 파리들이 여러가지 재료들을 썩어서 가장 좋은 냄새가 나도록 만든 향 기름(향수)을 못쓰게 만듭니다. 이 말은 우리가 흔히 듣는 말인 “만드는 것보다 허무는 것이 더 쉽다”, “향기를 내는 것보다 악취를 내는 것이 더 쉽다”, “한 개의 썩은 사과가 온 사과 바구니에 있는 사과를 썩게 만든다”와 같은 의미의 말입니다. 이 말들은 사람들이 모두다 잘 알고 있는 지혜로운 말들입니다. 그런데 전도자는 우리가 전통적으로 알고 있는 이 지혜로운 말을 뒤집습니다. “적은 우매가 지혜와 존귀를 난처하게 만드느니라”. 여기서 “난처하게 만든다”라는 히브리어(야콰르 יָקָר)를 많은 영어 성경에서 “능가한다”로 번역합니다. 즉, ‘적은 우매가 지혜와 존귀(존귀한 지혜)를 능가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 히브리어 단어는 “소증하고
8 views
- Dec 11, 2022
나의 일 하나님의 일
“내가 또 본즉 사람이 모든 수고와 모든 재주로 말미암아 이웃에게 시기를 받으니 이것도 헛되어 바람을 잡는 것이로다” (전도서 4:4) 전도자는 해 아래서 수고라는 모든 수고가 바람을 잡으려는 헛된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4절). 여기서 “모든 재주로 말미암아”에서 “재주”란 히브리어로“כִּשְׁרוֹן키쉬론”이라고 하는데 이는 “어떤 일에 성공 한”것을 말하고 그로인한 “유익을 얻게 된 것”을 말합니다. 자신이 열심히 일하고 그것으로 인한 성공은 이웃으로 부터 시기를 불러 일으킨다고 말합니다. 오늘날에도 자신이 어떠한 위치에 올라가려면 다른 동료들을 딛고 일어서야 하는 존재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 결과 일터에서 진정한 동료애는 사라지고 시기와 질투의 삶이 가득한 일터의 삶을 살아가는 것을 종종 봅니다. 그래서 전도자는 이것 또한 헛된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우매한 자 처럼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스스로 살을 파먹는 파멸에 이
6 views
- Dec 4, 2022
하는 일이 헛되지 않기 위하여…
“내가 해 아래에서 행하는 모든 일을 보았노라 보라 모두 다 헛되어 바람을 잡으려는 것이로다” (전도서 1:14). 전도자는 자신의 지혜로 세상의 일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든 인생들의 일들은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지만 그것들은 수고로움만 더하게 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13절). 또한 모든 일들은 바람을 잡으려 해도 잡을 수 없는 것과 같이 헛된 것임을 고백합니다. (14절). 그러므로 지혜를 이용하여 이 인생의 문제들을 해결해보려고 해도 그것은 구부러진 것을 곧게 할 수도 없고 정보의 부족함 때문에 제대로 셀 수도 없는 헛된 일임을 깨닫습니다 (15절). 또한 전도자는 지혜를 더 많이 얻으려고 노력을 해보았으나 많은 그것도 헛된 것임을 고백합니다 (16, 17절). 왜냐하면 많은 지혜나 지식은 삶의 의미를 바로 깨닫게 해주고 삶을 더 풍성하게 해 주기는 커녕 많은 번뇌와 근심을 가져다 주기 때문이었습니다 (18절). 즉, 하나님을 떠난 지혜는 이렇
7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