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의 삶의 원칙)
- 김광철 목사
- Jul 16, 2023
- 2 min read
Updated: Jul 17, 2023
“너는 그들로 하여금 통치자들과 권세 잡은 자들에게 복종하며 순종하며 모든 선한 일 행하기를 준비하게 하며 아무도 비방하지 말며 다투지 말며 관용하며 범사에 온유함을 모든 사람에게 나타낼 것을 기억하게 하라” (디도서 3:1-2)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이 사회의 권위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야 하며 왜 그렇게 반응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말씀합니다.
먼저 본문은 그리스도인들이 이 사회의 권위에 대해 어떻게 반응 해야 하는가? 에 대해 말씀합니다. 특히 본문은 믿지 않는 사회, 정치 지도자들 (사회 정치적 권위)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태도를 말합니다. 사회의 권위에 순복 할 것을 말합니다. 이 모든 것은 하나님께서 주셨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롬 13: 1) 그리스도인으로서 사회의 법과 질서를 지키며 바르게 살아가는 것은 주님의 복음을 위한 것입니다 (1,2절). 만약 그리스도인들이 사회의 법과 질서를 지키지 않고 문제를 일으킨다면 복음이 어떻게 그 사회에 살고 있는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제대로 증거 되겠습니까?
물론 권위에 순복하라는 말은 그들의 모든 정책에 무조건 지지 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사회의 법과 권위가 하나님의 법과 대치가 될 때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사회의 정책과 법을 따르기 보다 하나님께 순종하여 하나님의 법을 따라야합니다 (행 4:19).
그러나 믿지 않는 자들과 함께 살아가는 이 사회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정치, 사회적 권위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은 그 권위에 대한 순종함을 통해 법을 잘 지키며 사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냥 법만을 잘 지키는 정도가 아니라 중상모략을 하지 말고 다투지 말며 관용과 온유를 보여야 한다고 말합니다 (2절).
왜냐하면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하심에 의해 새로운 사람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3-7절). 예수 믿기 전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정욕과 쾌락을 따라 사는 자였지만 우리의 행함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로 새로운 사람이 되었고 성령께서 거하시는 거룩한 하나님의 성전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6절; 고전 3:16).
우리의 한 것에 대한 상으로 구원을 쟁취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사랑과 긍휼로 우리를 대해 주심으로 우리가 구원 받은 하나님의 백성이 될 수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그리스도인들도 사회, 정치 지도자들에 대해 그들이 우리에게 행한 대로 갚아 줄 것이 아니라 받을 자격이 없는 우리가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을 받은 것 같이 받을 자격이 없는 그들에게도 우리가 하나님께로 부터 받은 사랑과 긍휼도 대해주고 따라야 한다는 말입니다.
믿지 않는 사람들은 사람들이 나에게 한 것만큼 되돌려준다는 원칙에 따라 살지만,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께서 나에게 행하신 것 같이 (받을 자격이 없는 우리에게 우리의 행위 대로가 아닌 사랑과 긍휼로 구원을 주신 것) 사람들에게 행한다는 원칙을 가지고 이 사회에서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Recent Posts
See All“이르시되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누가복음 20:25) 하루는 대제사장, 서기관 바리새인들이 연합해서 예수님을 책잡아 로마 총독에게 넘겨서 죽이려는 목적으로 예수님께 나아와서 질문을...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와 같이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하면 하나님의 사자들 앞에 기쁨이 되느니라” (누가복음 15:10). 예수님 당시 종교지도자들이자 자신은 거룩하고 정결하게 산다고 자부했던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은 죄인과 세리들과 어울리자...
“나는 자비를 원하고 제사를 원하지 아니하노라 하신 뜻을 너희가 알았더라면 무죄한 자를 정죄하지 아니하였으리라. 인자는 안식일의 주인이니라 하시니라” (마태복음 12:7,8) 바리새인들은 안식일에 예수님과 제자들이 밀밭 사이로 지나가다가...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