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g 26, 2018
위기의 때와 기도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가 히스기야에게 보내 이르되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네가 앗수르 왕 산헤립 때문에 내게 기도하는 것을 내가 들었노라 하셨나이다” (열왕기상 19:20) 유다왕 히스기아는 산당을 제하고 다른 신들의 목상들도 다 깨뜨려 버리고 당시 모세가 만든 놋뱀을 하나님 같이 섬겨왔었는데 그 놋뱀도 부수어 버렸습니다. 또한 앗수르룰 섬기지 아니하고 여호와만 섬겼습니다 (18:7). 그런데 이렇게 하나님을 잘 섬겼던 히스기아에게도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기원전 701년에 앗수르왕 산헤립이 침공한 것입니다. 그때 앗수르를 의지하는 것에서 돌아서 하나님만을 의지하겠다고 했던 히스기야왕의 믿음의 결심이 흔들립니다. 그래서 당장의 위기에서 벗어나려고 믿음을 타협하게됩니다. 왕궁과 하나님의 성전에 있던 곳간의 금과 은을 다 내어 조공으로 바친것입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앗수르는 유다를 침공해서 위협합니다. 믿음을 잠시 떠나 현실과 타협했음에도 불구
7 views
- Aug 19, 2018
과거로부터 배우기
“이스라엘 자손이 여로보암이 행한 모든 죄를 따라 행하여 거기서 떠나지 아니하므로…” (열왕기하 17:22) 열왕기하 17장은 북 이스라엘의 멸망을 말씀하고 있는데 그 이유를 첫째 하나님의 언약을 버리고 계명을 떠난 죄때문이고 둘째로 우상을 만들어 섬긴 죄때문이라고 말씀합니다. 그러나 근본적인 원인으로 여로보암의 죄를 그대로 따라행했기때문이라고 말씀합니다. 솔로몬왕의 우상숭배로 말미암아 이스라엘은 북 이스라엘과 남 유다로 나누입니다. 이때 여로보암이 북 이스라엘 왕이되어 한일은 온 나라에 우상숭배를 조장한 일입니다. 절기때에는 하나님의 백성들은 예루살렘 성전에서 예배하게되어있었습니다. 그러자 북이스라엘 백성이 예루살렘 성이 있는 남 유다로 넘어갔었는데 자신의 나라의 백성이 남 유다로 넘어가는 것을 막기위해 벧엘에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그것에 예배하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온 나라가 우상을 섬기는 일을 하도록 조장했습니다. 자신의 왕권을 유지하기
17 views
- Aug 12, 2018
순종의 정도와 영적 삶의 질
“여호와께서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과 더불어 세우신 언약 때문에 이스라엘에게 은혜를 베풀며 그들을 불쌍히 여기시며 돌보사 멸하기를 즐겨하지 아니하시고 이 때까지 자기 앞에서 쫓아내지 아니하셨더라” (열왕기하 13:23). 열왕기하에 나타난 이스라엘 백성의 역사의 싸이클을 보면 ‘하나님 앞에 죄를 짖고 그것으로 인해 고통당하고 하나님께 부르짖고 그러자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고통에서 구원해 주시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이 계속적으로 반복됩니다. 이스라엘왕 요아스도 그랬습니다. 그가 왕이되자 온 이스라엘을 실족케했던 여로보암의 죄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아람왕을 사용해서 이스라엘을 벌하셨습니다. 그러자 이들은 하나님께 기도했고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구원자 엘사사 선지자를 보내서 그들을 아람의 손에서 구원해주셨습니다 (5절). 이제 살만하자 이스라엘은 다시 이전의 죄에서 떠나지 않고 계속적으로 우상을 섬기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4 views
- Aug 5, 2018
하나님 앞에서 겸손이 우리를 고친다
“나아만이 노하여 물러가며 이르되 내 생각에는 그가 내게로 나와 서서 그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고 그의 손을 그 부위 위에 흔들어 나병을 고칠까 하였도다” (열왕기하 5:11) 나아만의 이야기는 누가복음 4:27에서 예수님께서도 하셨습니다. “또 선지자 엘리사때에 이스라엘에 많은 문둥이가 있었으되 그중 한 사람도 깨끗함을 받지 못하고 오직 수리아 사람 나아만 뿐이니라.” 예수님께서 이 말씀을 하게된 배경을 살펴보면 나아만 사건을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하시고자 하는 요지가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예수님께서 사역을 시작하신 후에 갈릴리 지역을 두루 다니시면서 복음을 전하시고 표적을 행하셨습니다. 이것을 통해 예수님은 자신이 바로 구약에서 말씀하시던 그 메시아라는 사실을 충분하게 나타내셨습니다. 그런데 그들은 예수님을 메시이로 받아들이지 않고 배척했습니다. 자신들의 겸험과 지식에 의하면 예수는 자신들이 잘아는 요셉의 아들이라는 것입니다. 이들에
40 views